‧ 대마도(對馬島) 종가문서(宗家文書) 한글 서간류에 대하여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岸田文隆
1
‧ 한국어의 공손성과 간접표현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호정환
21
‧ 세종말뭉치 문어자료를 활용한 정도부사의 분류와 그 사용 양상–용언과의 2원 네트워크 분석 –…………
정성훈
45
‧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대조 분석을 통해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의 문제점 탐구 및 교육 방안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팜티튀린
65
‧ 日治初期教科書之綴字現象-以普通學校學徒用朝鮮語讀本為中心-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吳忠信
79
‧ 한국어 문법 연구 및 문법 교육의 변천상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종장지
101
‧ 鄭澈漢詩意象的符號學闡釋-以月、雲、酒意象為例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董 達
127
‧ 從「光海君」統治正當性看朝鮮的價值觀-冊封、執政能力與儒家道德 …………………
許怡齡
143
‧ 因應台灣觀光韓語需求之課程規劃與課題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游娟鐶
157
‧ 전통문화유산을 활용한 대만과 한국의 문화산업-「국립고궁박물관」과 「국립박물관문화재단」의 문화창의 발전사업 전략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정윤도
175
‧ 文化全球化下韓流的未來發展之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張琳禎
謝目堂
191
‧ 韓國文化政策施政理念及主要執行計畫之探究-以朴槿惠政府文化繁榮政策為例……
張秀蓉
209
‧ 대만 한국어 학습사전에 대한 기초연구- 학습자의 사전 사용 양상 조사를 중심으로-……
진관초
227
‧ 『춘향전』의 근대변용사와 제국: 활자매체, 대중음악 그리고 극영화예술로의 이행…
최세훈
249
‧ 台籍學生的韓語模組: 以單詞與聲調詞組為主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林智凱
271
‧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신문 교육 방안에 대한 소고 -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-…………………
소 미
287
‧ 염상섭의『삼대』와 巴金의『家』에 구현된 세대간 갈등양상 연구………………………
전훈지
303
‧ 한국어에 나타난 유교문화적 요소 일고찰…………………
Sanjay0 Kumar
323
‧ 한국에서 듀이 교육철학의 연구동향 분석—1995~2015년 한국내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—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李玮玮
339
‧ 日本殖民時期朝鮮和臺灣辯士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金倫辰
357
‧ 한국화교와 짜장면의 한국화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..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
두언문
37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