第三屆
目次
第一分組
한국어의 불규칙 활용에 대하여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……………임홍빈 1
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사 목록의 설정에 대한 연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박준석 21
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과제 –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대조분석 교수법.............정윤도 31
第二分組
17-18世紀朝鮮漢文文集裡的台灣論述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…………許怡齡 43
朝鮮末期教科書之綴字現象-以國民小學讀本為中心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…………吳忠信 53
신소설『광악산 』과『죄악의 씨 』의 어휘 특징 비교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…………장수용 67
朴槿惠總統的FTA政策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劉德海 79
驪州婆娑城現地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………簡錦松 89
韓國「擴大文化創意前進海外方案」政策之探討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謝目堂 / 張琳禎 107
한국어교육에서 문학작품을 활용한 맥락 활성화 교육방안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신주철 117
중국 내 한국어학과 커리큘럼 현황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…………………… ……………윤해연 127
바꿔 쓰기’활동을 통한 한국어 문법교육의 한 방법…… ……………………Phạm Thị Thuỳ Linh 139
第三分組
한국 역사드라마의 일본내 수용에 관한 연구…………… 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황성빈 161
인문학적인 관점에서 본 문화한류의 啓示와 意義………… 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박영환 173
한국의 온라인 민족주의: 2012년 런던 올림픽 중 박태환 – 쑨양 담론을 중심으로… ……조영한 191
朝鮮朝 漢詩의 疊字 活用 樣相 –『詩經』의 疊字를 중심으로……………………… …윤경희 205
試論現代漢語裏的日製漢字詞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정헌철 221
『論語』의 유교문화콘텐츠 활용에 관한 연구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이하나 233
천지인 제자 원리를 활용한 한글 자모 및 발음 교육 방안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최세훈 253
第四分組 研究生
어휘 유추’를 통한 효율적인 어휘 확장에 대한 연구 –외래어를 중심으로……… ………황은하 283
한국어 종결어미 ‘-더라'와 중국어 ‘來着'의 대조적 고찰 – 증거성 표지의 관점으로 ……진관초 301
조사 ‘에게’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한국어 무정물 명사의 유정성 연구……………… …한승규 319
동사의 의미 확장 양상 연구- ‘따르다’, ‘좇다’를 중심으로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조미희 331
韓國政府FTA貿易政策的發展過程與特質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張 文 343
韓國、臺灣中小企業出口支援政策比較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 ……林巧娓 357
韓國與台灣電視購物通路之成功實例比較研究–以HUROM為例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김 호 373
한국과 대만의 근대건축 관점에 대한 비교 고찰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유은영 383
『A Manual of Korean Geographical and Other Proper Names Romanized』을
중심으로 본 19세기 국어의 음운변동에 관한 기술……… 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한영균 / 장은영 393
중국어와 한국어의 음운적 대조 연구–음운의 배합과 음절 구조의 제한을 중심으로………張芳綺 415
韓語的漢字語「醇化」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蔡佳吟 431
해외 대학 한국학과/한국어학과의 현황 고찰–한국문학교육을 중심으로……………………강혜경 443
손창섭 아동소설에 투영된 인물형상 연구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최옥란 455
세조 대 불경의 언해와 그 관여 인물 –『능엄경언해(楞嚴經諺解)』를 중심으로…………유근선 465
한국어학과생에 대한 한국소설 교육 방법론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이광재 / 장춘광 473
韓國禁忌語及委婉語研究- 以死亡、性與便溺為中心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易行緯 483
한국과 대만의 지역주의 비교연구 – 정권교체 및 성과의 중심으로….………………………홍승흔 491
洪命熹之民族意識形成的過程及展現方式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張雅惠 501
韓劇配音稿之翻譯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田艾琪 513
韓國家族親屬稱謂分析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潘慈暉 523
한국과 대만 무용의 새 출발점–20세기의 최승희와 채서월 생애를 중심으로…………………서자정 541
中韓傳統舞蹈的身韻與動作形式之比較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邱麗儒 553
台、韓的文化資產分類與管理制度比較研究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楊喬卉 571
韓國傳訊軟體營運模式分析研究–以KAKAO TALK為中心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…陳宜嬪 58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