‧ 世界속의 韓國學 位置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金貞培
1
‧ 韓國學於世界之位置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9
‧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具本寬
15
‧ 韓國 現代詩의 言語 等級과 文學敎育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金炳善
39
‧ 재미디아스포라들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-白先勇의 ‘安乐乡的一日’와 이창래의 “Native Speaker”의 경우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禹尚烈
65
‧ 韓國佛教漢字語與中、日用語的異同淺析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林先渝
77
‧ 한국어 ‘공손성’의 문제: 높임법과 공손표현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扈貞煥
103
‧ 韓語語用反義表現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楊人從
131
‧ 초급 한국어 교재의 한자어에 대하여- 중국에서 쓰이는 한국어 정독 교재를 중심으로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文麗華 俞春喜
151
‧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수 학습에 관한 연구-인지적 접근 을 중심으로-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신명선
165
‧ 松江漢詩中的「夢」意象研究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董 達
183
‧ 당악과 한국 사문학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李承梅
197
‧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불교어계 한자어에 대하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李敬賢
213
‧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표현 교수방안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王清棟
227
‧ 日帝末期 韓國文學과 地方主義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朴秀淵
249
‧ 關於高句麗始祖朱蒙生母柳花夫人之研究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王永一
271